파이썬 문법 4

(Python/파이썬) EOFError 예외 처리

파이썬은 EOFError 라는 오류를 발생시키는데, EOF란 파일의 끝(End of file) 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예외는 try-excep 문을 통해 처리할 수 있는데, try 블록에는 평소와 같은 명령을 입력하고, 예외 상황에 해당하는 오류 핸들러는 except 블록에 입력해주면된다. 문제출처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19 11719번: 그대로 출력하기 2 입력이 주어진다. 입력은 최대 100줄로 이루어져 있고, 알파벳 소문자, 대문자, 공백,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다. 각 줄은 100글자를 넘지 않으며, 빈 줄이 주어질 수도 있고, 각 줄의 앞 뒤에 공백이 www.acmicpc.net 1. 코드 while True: try: print(input()) ex..

(Python/파이썬) 자릿수 맞추기

소수점 자릿수 맞추기 - 서식 지정자로 소수점 자릿수 처리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실수를 넣을 때는 %f를 사용한다. %f는 소수점 이하 6자리 까지 표시한다. 만약에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지정하고 싶으면 f앞에 %.자리수f로 지정해주면 된다. '%.2f' %2.3 >>'2.30' - 문자열 포맷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벙법 a = 3.1234567 '{:.3f}'.format(a) >> 3.123 출력 형태에서 0을 추가시키기 - %d는 %와 d사이에 0과 숫자 개수를 넣어주면 자릿수에 맞춰서 앞에 0이 들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03d로 지정하면 1은 001이되고 15는 015가 된다. {}를 사용하면, 인덱스나 이름뒤에 :를 붙이고 0과 숫자의 갯수를 지정하면 된다. '%03d' % 5 >> '005'..

(Python/파이썬) count() 함수

count 함수란? 문자열안에서 찾고 싶은 문자의 개수를 찾는 함수이다. count 함수는 문자열 뿐만 아니라 튜플, 리스트, 집합과 같은 반복 가능한 자료형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문자열 내부에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카운팅해서 반환해준다. 카운팅 시에는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카운팅하는 범위도 설정 가능하다. 문자열에서 사용하는 방법 해당 문자열에서 원하는 값이 몇 개있는지 count함수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bcde' 라는 문자열에서 b가 몇 개인지를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찾게 되면 'abcde'.count('b') 로 작성할 수 있다. 리스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내가 찾고자 하는 값이 리스트에 몇개나 들어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면 리스트.count(..

(Python/파이썬) 아스키 코드 변환 함수 ord(), chr()

아스키 코드란? 아스키코드는 기호와 영문알파벳에 적합한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코드가 7비트 인코딩이기 때문에, 7비트 인코딩으로 표현 가능한 것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 이다. 따라서 그 범위 안에 할당된 값은 기호와 영문 알파벳만이 해당된다. 한글과 같이 크기가 큰 문자는 인코딩하기 부적합하다. ord() 함수 문자열을 숫자로 바꿀 수 있는 함수이다. ord()의 형태로 사용하고, 괄호 안에 문자를 넣게 되면 그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숫자로 반환해준다. chr() 함수 숫자를 문자열로 바꿀 수 있는 함수이다. chr()의 형태로 사용하고, 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주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아스키 코드 문자를 반환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