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자료/Git 3

[Git] Backup

원격 저장소란? 깃에서는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를 연결해서 버전 관리하는 파일들을 쉽게 백업할 수 있다.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의미한다.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백업'과 '협업' 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격 저장소는 직접 구축을 할 수 있지만 만들고,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인터넷에서는 원격 저장소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주로 사용하게된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바로 '깃허브' 깃 허브로 할 수 있는 일들 1. 원격 저장소에서 깃을 사용할 수 있다. 2. 지역 저장소를 백업할 수 있다. 3. 협업 프로젝트에 사용할 수 있다. 4. 자신의 개발 이력을 남길 수 있다. => 1일 1커밋 도전!! 5. 다른 사람의 소스..

공부 자료/Git 2021.09.15

[Git] Branch & Conflict

branch branch란 같은 뿌리에서 나왔지만 서로 다른 역사를 써내려가고 있는 버전들을 의미한다. 즉, branch를 통해 하나의 프로젝트를 여러 갈래로 나눠서 관리할 수 있다. 각각의 독립된 브랜치에서 마음대로 소스코드를 변경하여 작업한 후에 원래 버전과 비교하여 또 하나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branch의 사용법 깃으로 버전 관리를 시작하면 기본적으로 master라는 브랜치가 만들어진다. 사용자가 커밋을 할 때마다, master 브랜치는 최신 커밋을 가리키게 된다. 브랜치는 커밋을 가리키는 포인터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좋다. 기존에 저장한 파일을 master 브랜치에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존 파일 내용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구현할 파일을 만들 수 있은데, master 브랜치에..

공부 자료/Git 2021.08.29

[Git] 버전 관리

버전 생성 working tree : 파일을 만들고 수정하지만, 버전으로 만들어지기 전 단계를 working tree 라고 할 수 있다. 즉, 워킹 트리는 파일을 수정하는 곳, 수정한 파일들을 의미한다. staging area : 파일이 10개라고 가정. 그 중 파일 2개만 하나의 버전으로 만들고 싶을 때, staging area에 2개의 파일을 올려놓는다. 즉, 버전을 만들려고하는 파일들을 뜻한다. repository : 깃이 staging area 위에 있는 2개의 파일을 골라 버전을 생성하여 repository에 넣는다. 즉, repository는 만들어진 버전이라고 생각을 하면 쉽다. Untracked 와 Tracked 상태 워킹 디렉터리에 있는 여러가지 파일들은 git의 추적 관리 여부에 따라 ..

공부 자료/Git 2021.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