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기초 6

(Python/파이썬) 람다(lambda) 함수

lambda 함수란? 쓰고 버리는 일시적인 함수라고 할 수 있다. 즉, 간단한 기능을 일반적인 함수와 같이 정의해두고 쓰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서 사용하고 즉시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람다 표현식으로 함수만들기 1 2 3 4 5 def plusten(x): return x + 10 >>> plusten(1) 11 cs return x+10으로 매개변수 x에 10을 더한 값을 반환하는 간단한 함수인데, 이를 람다 표현식으로 작성하게 되면 - lambda 매개변수들: 식 1 2 3 >>> plusten = lambda x: x + 10 >>> plusten(1) 11 cs lambda x: x + 10은 매개변수 x 하나를 받고, x에 10을 더해서 반환한다. 즉, 매개변수, 연산자, 값 등을 조합한 ..

(Python/파이썬) list 역순으로 만들기

reversed reversed() 함수는 파이썬의 list에서 제공해주는 함수는 아니다. 따라서 원본을 변경하지 않는다. reversed는 reversed 객체를 반환한다. a = [1, 2, 4, 3, 5] print(list(reversed(a))) # [5, 3, 4, 2, 1] b=[0, 10, 20, 40] for i in reversed(b): print(i) ''' 40 20 10 0 ''' list로 만든 객체를 문자열로 만들기 위해서는 join을 통해 요소들을 연결해주면 된다. k = ['a', 'b', 'c'] ''.join(reversed(k)) # 'cba' reverse reverse() 함수를 이용한다. reverse는 list 타입에서 제공하는 함수이다. 이 함수는 모든 리스..

(Python/파이썬) 반올림, 내림, 버림, 올림

반올림 파이썬에 반올림을 사용할 때는 내장된 round() 함수를 사용해준다. print(round(0.8989, 2))# result : 0.9 print(round(2.123, 2))# result : 2.12 print(round(3.11112, 3))# result : 3.111 올림 math 모듈을 import 해주고,ceil() 함수를 이용한다. import math print(math.ceil(1.83))# result : 2 print(math.ceil(3.19))# result : 4 내림 - math 모듈을 import 해주고, floor() 함수를 이용한다. import math print(math.floor(1.98))# result : 1 print(math.floor(3.15))..

(Python/파이썬) 자릿수 맞추기

소수점 자릿수 맞추기 - 서식 지정자로 소수점 자릿수 처리하는 방법 기본적으로 실수를 넣을 때는 %f를 사용한다. %f는 소수점 이하 6자리 까지 표시한다. 만약에 소수점 이하 자릿수를 지정하고 싶으면 f앞에 %.자리수f로 지정해주면 된다. '%.2f' %2.3 >>'2.30' - 문자열 포맷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벙법 a = 3.1234567 '{:.3f}'.format(a) >> 3.123 출력 형태에서 0을 추가시키기 - %d는 %와 d사이에 0과 숫자 개수를 넣어주면 자릿수에 맞춰서 앞에 0이 들어가게 된다. 예를 들어, %03d로 지정하면 1은 001이되고 15는 015가 된다. {}를 사용하면, 인덱스나 이름뒤에 :를 붙이고 0과 숫자의 갯수를 지정하면 된다. '%03d' % 5 >> '005'..

(Python/파이썬) count() 함수

count 함수란? 문자열안에서 찾고 싶은 문자의 개수를 찾는 함수이다. count 함수는 문자열 뿐만 아니라 튜플, 리스트, 집합과 같은 반복 가능한 자료형에서도 사용가능하다. 문자열 내부에서 특정 문자, 또는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카운팅해서 반환해준다. 카운팅 시에는 대소문자를 구별하고, 카운팅하는 범위도 설정 가능하다. 문자열에서 사용하는 방법 해당 문자열에서 원하는 값이 몇 개있는지 count함수를 사용해서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bcde' 라는 문자열에서 b가 몇 개인지를 count 함수를 이용하여 찾게 되면 'abcde'.count('b') 로 작성할 수 있다. 리스트에서 사용하는 방법 예를 들어, 내가 찾고자 하는 값이 리스트에 몇개나 들어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면 리스트.count(..

(Python/파이썬) 아스키 코드 변환 함수 ord(), chr()

아스키 코드란? 아스키코드는 기호와 영문알파벳에 적합한 문자 인코딩이다. 아스키코드가 7비트 인코딩이기 때문에, 7비트 인코딩으로 표현 가능한 것은 0부터 127까지 총 128개 이다. 따라서 그 범위 안에 할당된 값은 기호와 영문 알파벳만이 해당된다. 한글과 같이 크기가 큰 문자는 인코딩하기 부적합하다. ord() 함수 문자열을 숫자로 바꿀 수 있는 함수이다. ord()의 형태로 사용하고, 괄호 안에 문자를 넣게 되면 그 문자에 해당하는 아스키코드를 숫자로 반환해준다. chr() 함수 숫자를 문자열로 바꿀 수 있는 함수이다. chr()의 형태로 사용하고, 괄호 안에 숫자를 넣어주면, 그 숫자에 해당하는 아스키 코드 문자를 반환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