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시스템
네트워크 양단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경로 중간에 위치한 교환 시스템을 거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하는 경로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교환 기능이 제공된다. 교환 시스템에는 크게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존재하고 이외에 셀 릴레이와 프레임 릴레이가 존재한다.
- 회선 교환 방식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데, 데이터 경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라우팅 작업이 쉽다는 장점
-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 -> H/W 지원방식이 좋다.
- 음성 전화 서비스를 통해 발전
-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
- 고정 대역의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 받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
- 패킷 교환 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
- 가변 대역 전송률 지원 -> 네트워크 구조 복잡 -> S/W 지원 방식이 좋다.
- 디지털 측면으로 만들어짐
- 송신 호스트는 전송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눠 전송 -> 각 패킷은 독립적인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
- 장점 : 전송 대역의 효율적 이용 가능, 호스트 무제한 수용, 패킷에 우선 순위 부여 가능
- 패킷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교환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인데 2가지로 또 나뉠 수 있다.
1.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눠 전송하고,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가상 연결을 설정하여 모든 패킷의 전달 경로가 같다.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
- 경로를 독점하지 않고, 다른 호스트들과 공유한다.
-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하다.
2. 데이터 그램
패킷 경로 선택이 독립적이다.
- 경로를 미리 할당하지 않는다.
-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되고, 순서와 무관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다.
- 프레임 릴레이. 셀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속도 향상시키는 기술
1. 프레임 릴레이
동일 속도 전송 매체로 고속 데이터 지원 가능하게 고안된 기술
데이터 링크 기능을 단순하게 설계 가능
2. 셸 릴레이(ATM) 방식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의 장점을 모아서 고안
오류제어에 대한 오버헤드 최소화
셸이라는 고정 패킷을 사용
'공부 자료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인터네트워킹 (0) | 2021.10.04 |
---|---|
[네트워크] 네트워크 연결과 구성 요소 (0) | 2021.09.26 |
[네트워크] OSI 7계층 (0) | 2021.08.23 |
[네트워크] 네트워크 시작하기 (0) | 202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