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자료/네트워크

[네트워크] 네트워크 기술

뚜루뚜루세니 2021. 9. 29. 08:46
728x90

교환시스템

네트워크 양단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송 경로 중간에 위치한 교환 시스템을 거친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하는 경로를 올바르게 선정하는 교환 기능이 제공된다. 교환 시스템에는 크게 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이 존재하고 이외에 셀 릴레이와 프레임 릴레이가 존재한다.

  • 회선 교환 방식

- 연결형 서비스를 제공

- 고정 대역이 할당된 연결을 설정한 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인데, 데이터 경로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라우팅 작업이 쉽다는 장점

- 고정 대역폭의 전송률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구조가 단순 -> H/W 지원방식이 좋다.

- 음성 전화 서비스를 통해 발전

- 모든 데이터가 같은 경로로 전달

- 고정 대역의 전송 선로를 전용으로 할당 받아,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

  • 패킷 교환 방식

- 비연결형 서비스 제공

-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서 데이터를 분할하여 전송

- 가변 대역 전송률 지원 -> 네트워크 구조 복잡 -> S/W 지원 방식이 좋다.

- 디지털 측면으로 만들어짐

- 송신 호스트는 전송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눠 전송  -> 각 패킷은 독립적인 라우팅 과정을 거쳐 목적지에 도착

- 장점 : 전송 대역의 효율적 이용 가능, 호스트 무제한 수용, 패킷에 우선 순위 부여 가능

- 패킷 교환 방식은 데이터를 패킷교환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인데 2가지로 또 나뉠 수 있다.

 

1. 가상 회선 (Virtual Circuit)

데이터를 패킷 단위로 나눠 전송하고,  송수신 호스트 사이에 가상 연결을 설정하여 모든 패킷의 전달 경로가 같다.

-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

- 경로를 독점하지 않고, 다른 호스트들과 공유한다.

- 연결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패킷의 경로가 동일하다.

 

2. 데이터 그램

패킷 경로 선택이 독립적이다.

- 경로를 미리 할당하지 않는다.

- 서로 다른 경로로 전송되고, 순서와 무관하게 전달되기 때문에 도착 순서가 바뀔 수 있다.

  • 프레임 릴레이. 셀 릴레이 교환 방식

- 데이터 전송속도 향상시키는 기술

1. 프레임 릴레이

동일 속도 전송 매체로 고속 데이터 지원 가능하게 고안된 기술 

데이터 링크 기능을 단순하게 설계 가능

 

2. 셸 릴레이(ATM) 방식

회선 교환과 패킷 교환 방식의 장점을 모아서 고안

오류제어에 대한 오버헤드 최소화

셸이라는 고정 패킷을 사용

 

728x90